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웹어플리케이션 서버
- 파이썬
- spring security
- Spring
- MSA
- JPA
- Coroutine
- sql 기술면접
- Kotlin
- Spring Boot
- spring oauth
- 백준
- MySQL
- springboot
- 프로그래머스
- JVM
- 프로래머스
- 백준 16719
- re.split
- 백준 19238
- 백준 17626
- java 기술면접
- java
- 백준 16236
- 백준 15685
- with recursive
- 백준 16235
- 백준 파이썬
- spring cloud
- 백준 17779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resilience4j (1)
시작이 반
[Circuit Breaker]
하나의 API에서 여러개의 외부 API를 호출하고 있을때 어떤 하나의 API가 장애가 발생한다면 해당 API에 엮여있는 모든 API가 장애가 발생하는 것이 맞는 것일까? 아니면 한 페이지에 추천서비스, 검색서비스, 결제 서비스등 여러개의 서비스가 있을때 하나의 서비스가 장애가 발생하면 해당 페이지는 장애가 발생하는 것이 맞는 것일까?. 이상적인 서비스는 장애난 서비스만 장애로 보여지거나 장애가 아닌것 처럼 동작을 해야 한다. 아래와 같이 아마존과 넷플릭스는 MSA로 모든 서비스가 구축되어있으며 모든 서비스가 엮여있다. 하지만 하나의 서비스가 장애가 나더라도 정상적으로 작동한다. 이때 사용하는 것이 Circuit Breaker이다. Circuit Breaker 란? 회로 차단기란 뜻으로 caller에서 c..
Programming/기타
2023. 8. 5. 22:29